소리는 진동으로 발생합니다. 우리가 말할 때 성대가 진동하면서 공기를 통해 소리가 전달돼요. 소리가 우리 귀에 전달 되려면 공기나 물과 같은 매개체가 필요한거죠. 매개체는 소리가 전달될 수 있는 물질로, 지구에서는 공기가 바로 그 역할을 해요. 공기 중의 분자들이 소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죠. 하지만 우주는 공기나 물이 없는 진공 상태예요. 진공 상태는 물질이 거의 없다는 뜻이에요. 그래서 소리를 전달할 매개체가 없죠. 공기가 없으니 소리도 퍼질 수 없고, 결국 우주에서는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아요. 우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를 보면 우주선이 폭발할 때 큰 소리가 나는 장면을 자주 볼 수 있어요. 하지만 실제로는 우주에서 이런 소리를 들을 수 없어요. 우주선이 폭발하더라도 소리를 전달할 공기가 없기 때문이..
우주에서는 눈물이 지구에서처럼 흐르지 않습니다. 지구에서는 중력의 영향으로 눈물이 아래로 흐르지만, 우주에서는 중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눈물이 흘러내리지 않고 눈 주위에 고여 둥글게 맺히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미세중력(microgravity) 환경 때문입니다. 눈물을 흘릴 때, 눈물은 표면 장력이라는 힘에 의해 둥근 방울 형태로 모이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 이 방울이 점점 커지면서 눈 표면에 부착된 채 떠 있거나, 주변의 다른 물체나 피부에 달라붙게 됩니다. 우주에서는 물방울이 떨어지지 않고 공중에 떠다니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때문에 우주 비행사들은 감정적으로 눈물을 흘리는 것뿐만 아니라,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가려울 때도 일반적인 방법으로 눈물을 흘려 해결하기가 어렵습니다. 우주에서는 눈물..
중력은 물리학에서 질량을 가진 물체들이 서로를 끌어당기는 힘입니다. 네 가지 기본 힘 중 하나로 나머지 세 가지는 전자기력, 강한 핵력, 약한 핵력입니다. 중력은 상대적으로 약한 힘이지만 무한 범위에 걸쳐 작용하며 우주의 거대 구조와 천체의 운동을 지배합니다. 뉴턴의 중력 법칙: 아이작 뉴턴은 17세기에 중력에 대한 최초의 수학적 설명을 제안했습니다.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에 따르면 두 물체 사이의 중력은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20세기 초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중력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안했습니다. 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중력은 물체가 시공간을 휘게 만들면서 생기는 곡률로 설명됩니다. 큰 물체는 시공간을 휘게 하고 다른 물체들은..
우주가 정말로 무한한지에 대한 질문은 과학계에서 여전히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입니다. 현재까지의 과학적 관측에 따르면 우주의 실제 크기에 대한 확실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습니다. 무한한 우주: 일부 이론은 우주가 무한하며 그 안에는 무한히 많은 별과 은하가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우주는 크기에 경계가 없으며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는 단지 무한한 우주의 일부에 불과합니다. 유한하지만 무한처럼 보이는 우주: 다른 이론은 우주가 유한하지만 굴곡져 있어서 무한해 보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 주장은 우주가 일종의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이론적으로는 우주의 어느 한 지점에서 출발해 계속 직진하면 결국 출발점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개념입니다. 우주의 크기와 구조에 대해 인류는 우주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