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복잡하면 안전할까?

우리는 대부분 온라인 계정과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비밀번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보안 전문가들은 항상 “비밀번호를 복잡하게 설정하라”고 조언한다. 숫자, 대문자, 특수문자를 조합하면 해킹으로부터 안전할까? 또는 정말 복잡한 비밀번호가 보안성을 높여줄까? 이번 글에서는 비밀번호의 복잡성과 보안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1. 복잡한 비밀번호 vs. 강력한 비밀번호

보안 지침을 보면 보통 다음과 같은 비밀번호 규칙을 권장한다.

  • 최소 8~12자 이상
  • 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포함
  • 쉽게 유추할 수 없는 조합

예를 들어,

"P@ssw0rd123!" 같은 비밀번호는 얼핏 복잡해 보이지만, 해킹에 취약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패턴(특수문자를 끝에 붙이거나, 단어를 숫자로 대체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반면 "table-lamp-blue-dog" 같은 긴 구절형 비밀번호는 상대적으로 더 쉬우면서도 안전하다. 즉, 비밀번호의 복잡성이 아니라 길이가 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이다.

 

2. 비밀번호가 해킹되는 방식

비밀번호가 유출되는 대표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사전 공격(Dictionary Attack)

해커들은 사람들이 흔히 사용하는 비밀번호 목록을 이용해 조합을 시도한다. 예를 들어, "password", "123456", "qwerty" 등은 이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취약한 비밀번호다.

무작위 대입 공격(Brute Force Attack)

컴퓨터가 가능한 모든 문자 조합을 빠르게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찾는 방식이다. 비밀번호가 짧을수록 빠르게 뚫린다.

데이터 유출(Leakage)

대형 웹사이트가 해킹되면 비밀번호 데이터가 유출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일한 비밀번호를 여러 사이트에서 사용하면, 하나의 유출만으로도 모든 계정이 위험해질 수 있다.

 

3. 비밀번호가 길면 안전한 이유

비밀번호의 길이가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비밀번호 길이에 따른 해킹 시간

비밀번호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해커가 이를 해독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비밀번호 길이 숫자만 사용 문자+숫자 대/소문자+숫자+특수문자

6자리 즉시 몇 초 몇 초
8자리 몇 초 몇 시간 몇 일
10자리 몇 분 몇 달 수년
12자리 몇 시간 수천 년 수백만 년

출처: Cybersecurity 연구 결과

즉, 비밀번호가 길수록 무작위 대입 공격(Brute Force Attack)으로 해킹하는 것이 어렵다. 단순한 숫자 조합이라도 12자리 이상이면 해킹이 훨씬 힘들어진다.

 

4. 안전한 비밀번호를 만드는 법

긴 구절형 비밀번호 사용 (Passphrase)

  • "apple-chair-window-cloud" 같은 문장형 비밀번호는 기억하기 쉽고 안전하다.
  • 간단한 단어라도 길게 조합하면 해킹이 어려워진다.

사이트별로 다른 비밀번호 사용

  • 같은 비밀번호를 여러 사이트에서 사용하면 하나가 유출될 경우 연쇄적으로 피해를 볼 수 있다.

이중 인증(2FA) 활성화

  • 비밀번호 외에도 OTP(일회용 비밀번호)나 인증 앱을 사용하면 계정 보안을 크게 강화할 수 있다.

비밀번호 관리 프로그램 사용

  • 비밀번호를 외우기 어려운 경우, LastPass, Bitwarden, 1Password 같은 비밀번호 관리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5. 결론: 복잡성보다는 길이가 중요하다

비밀번호가 복잡하다고 해서 무조건 안전한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복잡한가"가 아니라, "얼마나 긴가"이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2자 이상의 긴 비밀번호(구절형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중 인증을 활성화하고, 여러 사이트에서 같은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을 지키는 핵심이다.

다음부터 새로운 계정을 만들 때는 복잡한 문자 조합보다 길고 기억하기 쉬운 비밀번호를 선택하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일 것이다.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소에 당이 많다고?  (4) 2025.04.24
너무 기쁘면 왜 눈물이 날까요?  (8) 2024.12.11
키는 유전일까?  (5) 2024.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