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서 가장 작은 생명체는 무엇일까?

바이러스

여러분은 혹시 세상에서 가장 작은 생명체가 무엇인지 궁금해본 적 있나요? 세상에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생명체들이 아주 많이 있어요. 이 생명체들은 너무 작아서 강력한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답니다. 오늘은 그런 작은 생명체들 중에서도 가장 작은 생명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세균과 바이러스 어떤 게 더 작을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작은 생명체 중 하나는 세균이에요. 세균은 단세포 생물로, 몸 전체가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어요. 세균은 사람의 몸 속이나 공기, 물, 흙 등 거의 모든 곳에 살고 있습니다. 세균의 크기는 보통 1마이크로미터(μm) 정도예요. 마이크로미터는 1밀리미터의 1,000분의 1 정도로, 아주 작은 크기랍니다.

그런데 세균보다도 훨씬 작은 생명체가 있어요. 바로 바이러스입니다. 바이러스는 나노미터(nm) 크기인데, 1나노미터는 1마이크로미터의 1,000분의 1이에요! 즉, 바이러스는 세균보다도 100배에서 1,000배 정도 더 작을 수 있어요. 그래서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훨씬 작은 생명체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럼 가장 작은 생명체는?

바이러스 중에서도 특히 작은 바이러스를 알아볼까요? "미코플라스마(Mycoplasma)"라는 세균과 "파상풍 바이러스"가 가장 작은 생명체로 알려져 있어요.

미코플라스마는 세균 중에서도 가장 작으며, 크기가 약 200~300나노미터(nm) 정도입니다. 세균이지만 일반적인 세균보다 훨씬 작아서, 바이러스처럼 매우 작은 생명체로 볼 수 있죠.

하지만 바이러스 중에는 파르보바이러스(Parvovirus)가 있는데, 이 바이러스는 크기가 약 20~25 나노미터(nm)밖에 되지 않아요. 정말 작은 크기죠! 이 정도면 지구상에서 가장 작은 생명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명체의 경계에 있는 바이러스

그런데 바이러스는 세균이나 동물과는 다르게 생명체로 분류하는 데에 논란이 있어요. 왜냐하면 바이러스는 스스로 살아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는 다른 생명체의 세포 안에 들어가야만 활동을 할 수 있어요. 그래서 어떤 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완전한 생명체'로 보지 않고, 살아있는 것과 무생물의 중간에 있는 존재라고 생각해요.

 

결론은?

지구상에서 가장 작은 생명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크기만 따지면 바이러스입니다. 그중에서도 파르보바이러스(Parvovirus)처럼 아주 작은 바이러스는 약 20나노미터로,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작은 크기죠. 하지만 바이러스는 스스로 살아갈 수 없어서 완전한 생명체로 볼 수 없다는 의견도 있어요. 만약 바이러스를 제외하고 가장 작은 생명체를 찾는다면, 미코플라스마 같은 작은 세균을 꼽을 수 있겠네요.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순 탄수화물과 복합 탄수화물  (3) 2024.09.25
해마는 수컷이 새끼를 낳는다  (3) 2024.09.11
해파리는 뇌가 없습니다.  (4) 2024.09.04